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쓸만한 정보/법률정보 2021. 4. 26. 17:09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피해자 신고방법 / 글쓴이 imwatchman

카톡 보이스피싱은 “엄마 바뻐? 나 폰 고장이라 컴으로 접했어. 뭐하고 있어?” 라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받으면서 시작된다. 카톡 피싱이라고도 불리는 카톡 보이스피싱은 카카오톡, 페이스북 등 메신저를 이용하여 가족, 친구, 지인을 사칭한 메시지를 보내는 방법으로 속여 돈을 가로채는 범죄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찰서에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시 챙겨야 할 준비물, 대처법 등 구체적인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주요내용  숨기기 

카톡 보이스피싱 용어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사례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꼭 해야 하나?

카톡 피싱 범행에 주로 사용되는 메신저는 어떤 것일까?

카톡 피싱 범인은 어떻게 내 카톡 계정이나 아들, 딸 이름을 알고 있을까?

혹시 내 카톡 계정이 해킹 당한 것은 아닐까?

피해금 송금 전 카톡 보이스피싱 입금계좌 확인 방법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전 계좌 지급정지 요청

경찰서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준비물

카톡 피싱 피해금을 송금한 계좌이체내역서, 송금확인증

카톡 피싱 당해 전송한 온라인 문화상품권 핀번호 확인 제출

카톡 피싱 대화내용 제출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후 계속해서 범인이 딸을 사칭해서 연락이 온다. 바로 잡을 수는 없나?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후 범인 처벌 및 진행절차

카톡 보이스피싱 용어

카톡 보이스피싱? 카톡 피싱? 메신저 피싱? 도대체 뭐라고 불러야 하나?

목소리를 이용하여 사기 범행을 하는 보이스피싱은 다들 익히 알고 있을 것이다. 카톡 보이스피싱은 전국민이 사용하는 ‘카카오톡’ 앱을 이용하여 문자로 피해자를 속여 범행을 하는 신종 보이스피싱 중 일종이다.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 특별히 정해진 것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사이버 범죄 유형 중 메신저 피싱 카테고리 안에 속한다고 보아야 하며, 카카오톡뿐만 아니라 페이스북, 네이트온 등의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지인 사칭 메시지를 보내 속여 편취하는 정보통신망이용  인터넷 사기 범죄 중 하나이다.

관련글 : 사이버 범죄 유형, 분류 알아보기 !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사례

최근 카톡 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해 신고를 한 ‘나피해’씨의 사례를 보자.

카톡 피싱 사기 범인은 범행 준비를 위해 포털사이트 해킹 등을 통해 취득한 ‘나피해’의 전화번호를 범행을 위해 만든 카카오톡 계정에 등록하고, ‘나피해’씨의 딸 ‘나야나’로 카카오톡 닉네임을 바꿨다.

범인들은 이렇게 범행 전 카카오톡, 페이스북 등 SNS로 피해자의 아들, 딸, 남편, 조카, 친구, 회사동료 등을 사칭한 메신저계정을 만든다.

“엄마 뭐해 지금 바뻐? 나 지금 핸드폰 망가져서 수리 맡기고 컴으로 톡하고 있어”

‘보이스톡 해요, 보이스톡 부재중’

“아니 안바빠”

“엄마 혹시 지금 시간되면 뭐 좀 도와줄 수 있어? 지금 급하게 문화상품권 사용될 것 있는데 핸드폰 땜에 구매 못하고 있어. 엄마 온라인 구매 가능해?”

위 대화 내용에서 ‘보이스톡 해요’는 왜 하는 것일까? 범인은 보이스톡을 눌렀다고 곧바로 껐을 것이다. 그렇게 음성으로 전화를 하려고 하였다는 흔적을 남겨놔야 피해자가 진짜 자신의 딸로 믿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 후 피해자에게 답장이 오면, 곧바로 카톡 보이스피싱 범죄 실행에 착수한다.

위 사례에서는 최근 다양한 연령의 고객들이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온라인 문화상품권 핀번호를 대신 구입해달라고 하면서 편취하려고 했지만, 이 뿐만 아니라 현금 송금을 요구하는 경우도 많이 있으며 다음과 같이 그냥 신용카드번호와 비밀번호를 알려달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엄마 온라인 구매 힘들면 내가 여기서 엄마 카드로 구매할게. 엄마 신용카드 어떤거 있어?”

“엄마 신용카드 앞뒷면 사진찍어 보내줘. 카드 비밀번호 알려주고 신분증 앞면 사진찍어 보내줘”

“엄마 지금 엄마 전화로 인증번호 보낼게. 인증 보내면 바로 알려줘”

“엄마 시간이 없어 빨리 해줘”

이렇게 자신의 딸인 줄 알고 속은 피해자는 자신의 신용카드번호, 비밀번호, 본인 인증번호 등 모든 정보를 범인에게 알려주고, 범인은 이를 이용해서 티몬, 지마켓 등에서 피해자 명의로 회원가입을 하거나 신용카드로 온라인 문화상품권을 구매한다.

위 사례만 보면 “저런 말에 누가 속겠어? 아니 신용카드번호랑 비밀번호를 왜 알려줘?”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막상 피해를 당하는 피해자들은 상대방이 자신의 딸이라는 사실을 믿어버렸기 때문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게 된다.

피해자들은 주로 ‘엄마’ 인데, 엄마의 모성애가 워낙 강하기 때문에 일반 보이스피싱 사기 범행보다 쉽게 속일 수 있기 때문에 카톡 보이스 피싱 신고가 계속해서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꼭 해야 하나?

괜히 신고했다가 더 피해를 당하는 건 아니냐고 물어볼 수 있지만 당연히 꼭 신고해야 한다. 특히 카톡 보이스피싱을 당해 현금을 송금 하였고, 곧바로 사기 피해를 당한 것을 알아채고 은행에 보이스피싱 신고를 했다면, 경찰서 신고는 필수이다.

경찰서에 신고를 해야 경찰서에서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접수 후 수사중이라는 ‘사건사실확인원’을 발급 받을 수 있고, 은행 영업일 기준으로 3일 안에 ‘사건사실확인원’을 은행에 제출해야 계속해서 계좌 지급정지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찰서에 신고를 한다고 해서 범인이 피해자나 피해자 가족들에게 해코지를 하거나 달리 어떻게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고, 신고를 해야 내가 피해를 당한 것을 증명하고 범인을 잡을 수 있다.

또한 경찰서 사이버수사대에 신고를 하면서 수사관들에게 대응요령, 조치사항 등 피해에 대한 안내도 받아야 한다.

피해를 당했다면 즉시 가까운 경찰서 사이버수사대에 신고하자.

카톡 피싱 범행에 주로 사용되는 메신저는 어떤 것일까?

당연히 전국민이 알고 있는 카카오톡이 범행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페이스북, 라인, 네이트온도 종종 사기 범행에 이용된다.

위 메신저들 중에 단연 카톡을 이용한 보이스피싱이 가장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 포스팅에서도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방법이라는 제목으로 글을 쓰는 것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가족, 친척, 친구, 지인 사칭은 카카오톡, 직장 상사나 동료 사칭은 네이트온, 친목이나 동창 모임은 라인을 사용한다.

카톡 피싱 범인은 어떻게 내 카톡 계정이나 아들, 딸 이름을 알고 있을까?

범인이 어떻게해서 지인들의 이름이나 피해자 전화번호, 카카오톡 아이디 등을 알았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다만, 대부분이 사칭한 아들, 딸의 네이버 등 계정이 해킹을 당해 연동되어 있는 주소록이 유출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범인은 이렇게 알아낸 타인의 연락처 등을 카카오톡 계정에 친구로 등록한 후 마치 지인(아들, 딸)과 같이 메시지를 보내 피싱 범죄를 하는 것이다.

그러니 만약 카톡 보이스피싱을 당했거나 범인으로부터 사칭 메세지를 받았다면 즉시 그 사람에게 전화연락하여 다른 피해가 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범인이 다른 가족에게도 돈이나 상품권 구입을 요구할 수 있으니까 말이다.

사칭한 사람이 당장 연락이 되지 않는다면 연락이 될 때까지 연락하여 해킹을 당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더 이상 범인이 정보를 빼내가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와 별도로 사칭을 당한 사람은 해킹으로 가까운 경찰서에 신고할 수 있으니, 최근 접속 IP 로그기록을 확인하여 꼭 신고하도록 안내하자.

혹시 내 카톡 계정이 해킹 당한 것은 아닐까?

본인 카톡이 해킹을 당할 가능성은 매우 낮고, 범인이 사용한 닉네임의 실제 주인이 해킹을 당했을 가능성이 아주 높다.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왓치맨이 알고 있는 카카오톡 보안성은 매우 좋다. 카톡 해킹의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위에서 말한대로 누군가의 전화번호 주소록을 연동해 놓은 통합검색포털사이트 계정이 해킹되었을 것이다.

다시한번 말하지만 꼭 사칭한 사람에게 연락하여 즉시 네이버, 구글 등 포털사이트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2차 보안인증(휴대폰확인) 조치를 하도록 해야 한다.

피해금 송금 전 카톡 보이스피싱 입금계좌 확인 방법

사실 아들이나 딸 명의의 계좌가 아니라면 아들,딸이 옆에 있거나 직접 전화 통화하여 부탁한 것이 아니라면 송금하면 안된다. 100% 사기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꼭 확인을 하고 싶다면 경찰청 공식사이트 ‘인터넷 사기 의심 전화 · 계좌번호 조회’를 통해 상대 계좌번호가 사기 범행에 이용된 적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자.

아직 송금 전이라면 꼭 확인해봐도 되겠지만, 확인해보지 않아도 전화나 직접 부탁하는 것이 아니고 휴대폰 문자메시지도 아닌 인터넷 SNS로 부탁하는 것이라면 단언컨데 100% 사기이다.

입금 전 이 글을 봤다면 절대 입금하면 안된다 !!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전 계좌 지급정지 요청

카톡 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해 현금을 입금하였다면 즉시 은행 콜센터로 전화하여 “보이스피싱 당했어요. 빨리 지급정지 해주세요”라고 신고하여 계좌 지급정지요청을 해야 한다.

카톡 보이스피싱은 다른 사이버범죄와 달리 ‘전기통신금융사기피해금환급에관한특별법’으로 인해 지급정지를 시킬 수 있는 범죄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 절차만 빠르게 진행하더라도 금전 피해를 막을 수 있다.

혹시 피해를 당했음에도 지급정지를 하지 않고 이 글을 보고 있다면 즉시 지급정지요청을 한 후에 이 글을 읽어달라.

지급정지 요청이 완료되면 은행에서 사건사실확인원을 제출해달라고 할 것이고, 경찰서 사이버수사대에서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후 사건사실확인원을 발급받아 은행에 제출해야 한다.

그래야 피해금을 입금한 계좌 지급정지가 계속해서 유지되고, 피해금이 남아 있다면 환급 신청을 통해 피해금을 받을 수 있으며, 같은 계좌를 이용한 다른 피해자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경찰서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준비물

카톡 피싱 피해금을 송금한 계좌이체내역서, 송금확인증

카톡 피싱 피해를 당해 현금을 송금하였다면 상대방 입금자 성명, 계좌번호가 기재되어 있는 계좌이체내역서, 송금확인서를 꼭 지참하여 경찰서에 가야 한다.

계좌이체내역서를 가지고 방문하지 않는다면 나중에 또 다시 경찰서에 방문해야 하는 일이 생기니 다른 것은 나중에 제출하더라도 거래내역서는 꼭 가지고 가야 한다.

이체내역서는 은행에서 발급한 상대방 계좌번호가 나와있는 거래내역서이여야 하며, 무통장 입금시 상대 계좌번호가 나와 있다면 송금이체확인서도 가능하다.

은행에 갈 시간도 없고, 휴대폰 어플을 이용해서 송금하였으면 은행어플을 이용해서 캡쳐자료를 제출할 수 있다.

은행어플에 들어가서 이체-이체결과확인에 들어가면 대부분의 은행어플로 상대방 계좌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단, 위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이 되지 않는다면 은행에 방문하여 “상대방 계좌번호가 포함된 이체결과확인서 주세요”라고 하여 거래내역서를 지참하여 경찰서로 가야 한다.

카톡 피싱 당해 전송한 온라인 문화상품권 핀번호 확인 제출

카톡 피싱을 당해서 온라인 문화상품권을 구입한 뒤에 핀번호를 사진촬영하여 보내 줬다면, 범인에게 전송한 문화상품권 핀번호 등이 나타나 있는 사진자료 및 구매시 전송받은 핀번호 내역 등을 제출하면 된다.

만약 위에서 본 사례와 같이 범인이 신용카드로 문화상품권을 결제하였다면 카드사로부터 결제승인내역서를 발급받아야 하고, 그곳에서 신용카드로 결제한 회사를 확인해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삼성카드로 했다면, 삼성카드사로 연락해서 승인내역서를 받은 뒤, 그곳에 적혀있는 티몬, 지마켓 등 온라인 상품권을 판매한 회사를 확인해야 하고, 회사에 연락하면 상품권 핀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카톡 피싱 대화내용 제출

또 한가지 중요한 것은 상대방과 카카오톡으로 대화를 주고 받은 메신저 대화내용을 그대로 가지고 가야 하고, 신고 접수시 경찰관에게 범인과 대화한 카카오톡 대화내용을 내보내기 및 캡쳐를 통해 제출해야 한다.

카톡 메시지창 위쪽 더보기 → 톱니바퀴 → 대화내용 내보내기 → 택스트 메시지만 보내기 순서로 클릭 후 이메일을 통해 사이버수사대 경찰관에게 제출하면 된다.

다만 최근에는 원격으로 대화 자료를 삭제하는 경우도 있으니 최대한 빨리 자료를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후 계속해서 범인이 딸을 사칭해서 연락이 온다. 바로 잡을 수는 없나?

실제로 카카오톡이나 다른 매체로 연락이 온다고 해도 즉시 범인을 검거하기는 어렵다.

연락이 오더라도 큰 의미는 두지말고 경찰에 신고하면서 말해주면 그에 따른 조치방법을 알려줄 것이니 연락이 와서 신경쓰지 말자.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후 범인 처벌 및 진행절차

통상적으로 형법 제327조 제1항의 적용으로 사기죄(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및 보이스피싱과 같이 전기통신금융사기에 해당하여 특별법 등이 적용되어 처벌된다.

수사기간은 이미 신고접수되어 수사가 진행중인 사건일때 짧게는 며칠이 소요되는 경우도 있고, 수개월의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도 있어 각각 사건마다 정형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확히 알 수 없다.

수사기관을 믿고 조금만 기다려 보자.

지금까지 최근 계속해서 범행 수법이 업그레이드 되는 카톡 보이스피싱 신고 방법 및 조치사항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부디 여러분들의 빠른 피해 회복을 기원하며, 이 글이 조금이나마 카톡 피싱 신고 및 피해회복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I’M WATCHMAN !!

 

출처 - 사이버범죄연구소

admin